테이블산자리 파이 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이블산자리 파이 b는 2001년에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어머니 항성인 테이블산자리 파이를 5.89년에 한 바퀴 돈다. 이 행성은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아 망원경의 도플러 분광기를 사용하여 발견되었으며, 3.38 천문단위의 긴반지름과 2.59 천문단위의 짧은반지름을 가진 찌그러진 궤도를 그린다. 최소 질량은 목성의 10배 이상이며, 궤도면은 별의 적도면과 24±4.1° 기울어져 있다. 2020년 천체측량법으로 측정한 결과 실제 질량은 목성 질량의 약 14.1배로 갈색 왜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2022년의 최신 측정 결과는 약 12.3배로 수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이블산자리 - 대마젤란 은하
대마젤란 은하는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로, 불규칙 은하 또는 마젤란형 왜소나선은하로 분류되며, 뚜렷한 중심 막대와 나선팔 구조,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인 타란툴라 성운을 포함하고, 약 16만 광년 떨어져 별의 탄생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천체이자 초신성 SN 1987A가 관측된 은하이다. - 테이블산자리 - 테이블산자리 알파
- 2001년 발견한 외계 행성 - HD 142 b
HD 142 b는 봉황새자리 방향으로 약 84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태양과 유사한 HD 142를 어머니 별로 두고, 목성 질량의 1.31배 이상이며 1.02 천문단위 거리에서 약 350일 주기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 2001년 발견한 외계 행성 - HD 28185 b
HD 28185 b는 목성 질량의 5.72배인 외계 행성으로, 1.04년의 공전 주기를 가지며, 모항성의 생물권 내에 위치하여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목성형 행성 - 해왕성
해왕성은 태양계의 여덟 번째 행성이며, 1846년에 발견되었고, 질량이 지구의 약 17배인 거대 얼음 행성으로, 푸른색을 띠며 강력한 폭풍과 14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목성형 행성 - 토성
토성은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거대 가스 행성이며, 아름다운 고리, 많은 위성, 물보다 낮은 밀도, 빠른 자전으로 인한 편구체 형태, 북극의 육각형 구름, 그리고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타이탄과 엔켈라두스로 특징지어진다.
테이블산자리 파이 b | |
---|---|
기본 정보 | |
항성 | 테이블산자리 파이 |
별자리 | 테이블산자리 |
거리 | 59.39 광년(18.21 파섹) |
형태 | G1 IV |
발견일 | 2001년 10월 15일 |
발견자 | H. 존스, S. Vogt, 버틀러, 마시, 피셔, D. Pourbaix, K. Apps, G. 래플린 |
발견 방법 | 도플러 분광법 |
발견 지역 |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안 망원경 |
명칭 | HD 39091 b |
궤도 요소 | |
궤도 기준 | |
물리적 특징 | |
물리적 기준 |
2. 발견
2001년 10월 15일, 천문학자인 존스, 버틀러, 티니, 마시, 페니, 매카시, 카터, 푸르베 등이 포함된 연구팀은 지금까지 관측된 가장 무거운 외계 행성 중 하나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행성은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아 행성 탐사 팀에 의해 앵글로-오스트레일리아 망원경에 장착된 도플러 분광기를 사용하여 발견되었다.
테이블산자리 파이 b는 어머니 항성 테이블산자리 파이를 크게 찌그러진 궤도를 그리면서 5.89년에 한 바퀴 돈다.[7] 공전 궤도 긴반지름은 3.38 천문단위이며 짧은반지름은 2.59 천문단위이다. 근일점(1.21 천문단위)을 통과할 때 항성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을 지나가나, 원일점에서는 태양~목성 거리(5.54 천문단위)까지 물러난다.[7] 지구 정도 행성이 또 존재하더라도, b의 중력 때문에 안정된 궤도를 형성하지는 못할 것이다.[7]
3. 물리적 특징
3. 1. 질량과 구성
테이블산자리 파이 b의 최소 질량은 목성의 10배 이상으로, 지구 질량의 3,000배가 넘는 값이다.[7] 표면 중력은 목성의 10배 이상으로 추정되며, 내부열로 인해 달아올라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7] 궤도경사각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각도에 따라 갈색 왜성일 가능성도 있다. 2020년 천체측량법을 통해 측정된 실제 질량은 목성 질량의 약 14.1배로, 갈색 왜성으로 분류될 수 있는 수준이다. 2022년 최신 천체측량 결과는 이 질량 추정치를 약간 낮춰 목성 질량의 약 12.3배로 수정했다. 테이블산자리 파이 b의 궤도면은 별의 적도면과 강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불일치는 24±4.1°이다.[5]
3. 2. 궤도 정렬
테이블산자리 파이 b의 궤도면은 별의 적도면과 24±4.1° 정도 기울어져 있다.[5] 2020년 천체측량법을 통해 측정된 테이블산자리 파이 b의 실제 질량은 목성 질량의 14.1배였다. 이는 목성 질량의 13배보다 크기 때문에, 이 천체는 갈색 왜성으로 간주될 수 있다. 2022년 현재 최신 천체측량 결과는 이 질량 추정치를 약간 낮춰 목성 질량의 12.3배로 수정했다.
참조
[1]
문서
[2]
간행물
Contributions to the Nearby Stars (NStars) Project: spectroscopy of stars earlier than M0 within 40 pc-The Southern Sample
2006-07
[3]
웹사이트
HD 39091
http://hzgallery.org[...]
2022-09-04
[4]
간행물
A probable planetary companion to HD 39091 from Anglo-Australian Planet Search
https://arxiv.org/ab[...]
[5]
간행물
Orbital misalignment of the super-Earth π Men c with the spin of its star
[6]
저널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http://www.iop.org/E[...]
2009-06-21
[7]
저널
A probable planetary companion to HD 39091 from Anglo-Australian Planet Search
http://xxx.lanl.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